C.I.P(Cast In place Pile) 공법 CIP공법이란? 로터리
보링기나 오거로 천공 후에 철골파일을 일정한 간격으로 시공합니다. 그리고 그 사이는 천공 후 조립된 철근을 건입 한 뒤에 콘크리트를 타설 하여 한 개의 현장 타설 말뚝을 만듭니다. 이렇게 반복적으로 시공하여 토류벽체를 형성하는 공법이며 시공된 CIP 두부를 일체화하기 위해 CAP CON'C를 타설 하여 균일하게 만듭니다. CIP공법의
시공방법으로는 1.
정확한 위치에 C.I.P를 시공하기 위하여 안내벽(Guide Wall)을 설치한다.(보통 H형강을 2줄로 설치) 2
- 천공장비를 사용하여 설계 깊이까지 천공한다.
(일반적으로는 풍화암층 1m까지 천공한다.)
(토사 부분에서 공벽이 붕괴될 경우에는 강재 케이싱을 사용한다.) 3
- 굴착으로 발생되는 슬라임(Slime)은 Screw Rod나 에어 리프팅 펌프(Air Lifting Pump)를 이용하여 배출시킨다. 4
- 설계도면에 따라 조립된 철근 케이지(Cage) 또는 H-Pile을 공내로 삽입한다. 5
- 공내에 철근 케이지(Cage) 또는 H-Pile를 넣은 후 트래비 파이프(Tremi Pipe)를 이용하여 δck=180 kg/㎠ 이상, 슬럼프 15cm 이내의 콘크리트를 타설 한다. 6
- C.I.P 시공이 완료되면 두부를 정리하고 캡빔(Cap Beam)을 설치한다. CIP공법만의
특성을 설명한다면
-장 점
-지반의 종류에 관계없이 거의 모든 지반에 적용이 가능하다. 단, 전석, 옥석층에서는 시공이 상당히 어렵다. 풍화암, 연암층에서는 가시설일 경우 시공의 필요성이 없다.(하지만 풍화암의 경우 암석의 질을 보고 설계자의 판단하에 진행한다.)
-장비가 소형이므로 협소한 장소에서도 시공이 가능하다. 현장이 넓고 C.I.P의 길이가 긴 경우는 대형장비를 사용한다.
-벽체강성이 커서 배면토압에 의한 수평변위가 작게 나타나므로 침하 등에 의해 발생되는 인접구조물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비교적 저진동, 저소음 공법이다.
-C.I.P와 주변지반의 마찰력이 크게 되어 지지력이 증가한다.
-단 점
-토류판 공법에 비해 고가의 공법이다.
-굴착공 하부에 슬라임(Slime)이 발생할 수 있다.
-암반 천공은 어렵다
-공과 공사이가 틈이 있으므로 지하수의 영향을 받을 경우는 별도의 차수 Grouting을 계획하여야 한다. CIP공법
설계순서
가장 먼저 현황조사와 지질조사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그리고 본격적으로 CIP공법의 설계순서를 보면
1. 토질 정수 산정 (실험, 경험식 사용)
2. 공법 선정
3. 설계
착수로 끝입니다. 간단합니다.
하지만 CIP공법을 계산하며 무너지지 않는지 에러가 나는지 안 나는지는 CIP를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계산해야 합니다.
간략하게나마 몇 가지 적는다면
-지층에 따른 토압 산정(경험식)
-벽체의 부재력 산정
-축력 계산(STRUT 등 지보재)
-C.I.P 철근량 계산.
-중앙 말뚝의 지지력 및 좌굴 계산.
-지지구조체 해체 시 해체 검토
CIP공법의 현장사진
계측기 빈도와 관리기준에 대한 지하안전평가 메뉴얼 내용입니다.
앞선 내용에서 지하안전평가의 계측기 계획에 언급했다면 이번에는 계측기의 빈도 수와 그에 따른 계측기 관리 기준에 대하여 간력하고 빠르게 확인해 보겠습니다. 굴차공사의 계측기 빈도 굴
8a5n9t5z.tistory.com
지하안전평가 메뉴얼에 수록된 계측기 설치 계획 내용입니다.
지난 포스팅 지하안전평가 - 지하수위 기준에서 소개한 기준 말고도 계측기 관련 계획이 있어 가져와 봤습니다. 기준들을 찾다 보면 다양한 기준들이 있습니다. 국가마다 혹은 지역마다, 구마다
8a5n9t5z.tistory.com
'간략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흙막이가시설공사 시 배수계획 어디로 배출되는가? (흙막이) (0) | 2025.04.24 |
---|---|
계측기 빈도와 관리기준에 대한 지하안전평가 메뉴얼 내용입니다. (0) | 2023.02.20 |
지하안전평가 메뉴얼에 수록된 계측기 설치 계획 내용입니다. (0) | 2023.02.19 |
지하안전영향평가표준메뉴얼 참고 대상지역 간략내용 - 지하수위 (0) | 2023.02.04 |